-
코스피가 외국인 매수에 힘입어 21일 2400선으로 올라섰다.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2.31포인트(0.93%) 오른 2409.16에 거래를 마쳤다.종가 기준 2400선 회복은 지난달 28일(2422.09) 이후 17거래일 만이다.지수는 전장보다 1.06포인트(0.04%) 높은 2387.91로 개장해 등락을 반복하다 외국인의 매수로 상승폭을 키워나갔다.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4387억원 순매수했고 개인과 기관은 각각 3352억원, 1067억원을 팔아치웠다.삼성전자는 2.15% 올라 6만1800원에 거래를 마쳤고, LG화학(5
증권/증시
노현아
2022.07.21
-
코스피가 이틀 연속으로 상승 출발했다.21일 이날 오전 9시 1분 현재 코스피는 전날보다 7.85포인트(0.33%) 오른 2394.70이다.지수는 전장보다 1.06포인트(0.04%) 높은 2387.91로 개장해 강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.같은 시간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.62포인트(0.33%) 오른 793.34다.한편, 뉴욕증시는 기업들의 호실적에 상승세를 이어갔다.20일(미 동부시간) 뉴욕증권거래소(NYSE)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7.79포인트(0.15%) 오른 3만1874.84로 장을 마감했다.스탠더드앤드푸어
증권/증시
노현아
2022.07.21
-
코스피가 20일 상승 마감했다.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5.88포인트(0.67%) 오른 2,386.85에 장을 마쳤다.종가는 지난달 28일(2,422.09) 이후 16거래일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지만 2,400선 문턱은 넘지 못했다.지수는 전장보다 35.32포인트(1.49%) 높은 2,406.29로 개장해 장 초반 2,410.06까지 올랐다. 그러나 외국인이 매수 우위에서 매도 우위로 돌아서면서 상승 폭을 일부 반납했다.유가증권시장에서는 개인이 648억원을 순매수해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. 반면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586억원,
증권/증시
김동화
2022.07.20
-
가상화폐 대장격인 비트코인 가격이 3000만원대를 회복했다.20일 오전 9시 40분 기준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에서 1비트코인 가격은 3027만4천원으로, 24시간 전보다 약 3.53% 올랐다.비트코인은 지난달 14일 이후 3000만원대를 하회해 한때 2380만원까지 급락한 후 최근까지 2400만∼2800만원대에서 게걸음 장세를 이어왔다.같은 시간 빗썸에서도 3.49% 오른 3031만9000원에 거래되고 있다.시가총액 규모 2위인 이더리움은 24시간 전보다 2.46% 내린 198만6000원대에서 움직이고 있다.미국 연방준비제도(Fe
증권/증시
김동화
2022.07.20
-
코스피가 삼성전자의 상승세에 힘입어 20일 장 초반 2,400선을 탈환했다.이날 오전 9시 1분 현재 코스피는 전날보다 36.84포인트(1.55%) 오른 2,407.81이다.지수는 전장보다 35.32포인트(1.49%) 높은 2,406.29로 개장해 강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.장중 2,400선 진입은 지난달 28일(장중 고가 2,422.10) 이후 16거래일 만이다.‘6만전자’를 회복한 삼성전자는 전날보다 800포인트(1.15%)오른 6만1700원에 거래되고 있다.반도체업총 투 톱인 SK하이닉스도 3000포인트(2.50%)오른 10만
증권/증시
김동화
2022.07.20
-
미국 뉴욕증시가 예상보다 나은 기업들의 실적에 힘입어 크게 반등했다.19일(미 동부시간) 뉴욕증권거래소(NYSE)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54.44포인트(2.43%) 오른 3만1827.05로 장을 마감했다.스탠더드앤드푸어스(S&P)500지수는 전장보다 105.84포인트(2.76%) 상승한 3936.69로,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353.10포인트(3.11%) 뛴 1만1713.15로 거래를 마쳤다.투자자들은 경기침체 우려가 커진 상황에서 2분기 기업들의 실적과 다음 분기 전망치 등을 주시해왔다.지금까지
증권/증시
김동화
2022.07.20
-
코스피가 19일 소폭 하락 마감했다.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4.28포인트(0.18%) 내린 2,370.97에 장을 마치며 3거래일 만에 반락했다.지수는 전장보다 7.73포인트(0.33%) 낮은 2,367.52로 개장해 약세 흐름을 이어갔다.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.61포인트(0.72%) 오른 782.33에 마감했다.
증권/증시
김동화
2022.07.19
-
비트코인 가격이 3000만원대 회복을 시도하고 있다.19일 오전 10시 30분 기준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에서 1비트코인 가격은 2922만2000원으로, 24시간 전보다 약 5.67% 올랐다.이날 오전 9시 직후 2998만9000원까지 오르며 3000만원대 진입을 한 차례 시도했으나 상단에 막혀 소폭 내린 모습이다.비트코인은 지난달 14일 이후 3000만원대를 하회해 한때 2380만원까지 고꾸라졌다가 소폭 오른 뒤, 최근까지 2400만∼2800만원대에서 게걸음 장세를 이어왔다.같은 시간 빗썸에서도 5.75% 오른 2923만1000원
증권/증시
김동화
2022.07.19
-
코스피가 19일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하락세로 출발했다.이날 오전 9시 22분 현재 코스피는 전날보다 10.01포인트(0.42%) 내린 2,365.24다.지수는 전장보다 7.73포인트(0.33%) 낮은 2,367.52로 개장해 약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.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42억원, 228억원을 순매도했다. 개인은 462억원을 순매수했다.지난 18일(현지시간) 뉴욕증시에서는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(0.69%), 스탠더드앤드푸어스(S&P)500지수(0.84%), 나스닥 지수(0.81%)가 일제히 하락했다.미국 증시
증권/증시
김동화
2022.07.19
-
뉴욕증시가 애플 악재로 하락세로 돌아섰다.18일(미 동부시간) 뉴욕증권거래소(NYSE)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15.65포인트(0.69%) 떨어진 31,072.61로 거래를 마쳤다.스탠더드앤드푸어스(S&P)500지수는 전장보다 32.31포인트(0.84%) 하락한 3,830.85로,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92.37포인트(0.81%) 밀린 11,360.05로 장을 마감했다.투자자들은 은행들의 실적과 애플 관련 뉴스, 주택 지표, 연방준비제도(연준·Fed)의 금리 인상 속도 등을 주시했다.골드만삭스와 뱅크
증권/증시
김동화
2022.07.19
-
18일 코스피가 2%p 가까이 오르며 2370선을 회복, 상승 마감했다.이날 코스피는 전거래일 대비 44.27p(1.90%) 오른 2375.25로 거래를 마쳤다. 외국인은 6273억원을 순매수한 반면 개인과 기관은 각각 4217억원, 2000억원을 순매도했다. 코스닥도 전거래일 대비 14.33p(1.88%) 상승한 776.72에 거래를 마쳤다. 코스닥에서는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211억원, 20억원을 순매도한 반면 기관은 189억원을 순매수했다. 김호석
증권/증시
김호석
2022.07.19
-
‘6만전자’를 회복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종의 상승세에 힘입어 코스피가 오전 장에 오름세다.개장과 동시에 상승세로 출발한 코스피는 18일 오전 10시55분 전날보다 33.44포인트(1.39%) 오른 2363.22에서 거래중이다.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835억원을 순매수했다. 기관과 개인은 각각 376억원, 384억원을 순매도했다.지난 15일(현지시간) 뉴욕증시에서는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(2.15%), 스탠더드앤드푸어스(S&P)500지수(1.92%), 나스닥 지수(1.79%)가 일제히 상승했다.소매판매 지표 호조와
증권/증시
안은복
2022.07.18
-
뉴욕증시가은행주들이 강세를 보이면서 일제히 올랐다.15일(미 동부시간) 뉴욕증권거래소(NYSE)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58.09포인트(2.15%) 오른 31,288.26으로 거래를 마쳤다.스탠더드앤드푸어스(S&P)500지수는 전장보다 72.78포인트(1.92%) 상승한 3,863.16을,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01.24포인트(1.79%) 오른 11,452.42로 장을 마감했다.투자자들은 소매판매 및 경제 지표, 은행 실적 발표 등을 주목했다.미국 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소비가 다시 증가세로
증권/증시
안은복
2022.07.16
-
뉴욕증시는 대체로 하락한 가운데 혼조를 보였다.14일(미 동부시간) 뉴욕증권거래소(NYSE)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42.62포인트(0.46%) 하락한 3만630.17로 거래를 마쳤다.스탠더드앤드푸어스(S&P)500지수는 전장보다 11.40포인트(0.30%) 떨어진 3790.38으로 마감했다.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마감 직전에 올라 강보합세로 장을 마쳤다. 지수는 전장보다 3.60포인트(0.03%) 오른 1만1251.19를 기록했다.투자자들은 생산자 물가 발표와 연방준비제도(연준·Fed) 당국자들의 발언, 은행
증권/증시
최오현
2022.07.15
-
뉴욕증시는 경기침체 지표에 따른 긴축 우려로 하락했다.13일(미 동부시간) 뉴욕증권거래소(NYSE)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08.54포인트(0.67%) 하락한 3만772.79로 장을 마감했다.스탠더드앤드푸어스(S&P)500지수는 전장보다 17.02포인트(0.45%) 떨어진 3801.78로,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7.15포인트(0.15%) 밀린 1만1247.58로 거래를 마쳤다.투자자들은 소비자 물가 지수(CPI)와 그에 따른 연방준비제도(연준·Fed)의 긴축 강도를 주목했다. 이날 발표된 6월 미국
증권/증시
최오현
2022.07.14
-
13일 장 초반 코스피는 투자자들의 눈치 보기 속 보합권이다.이날 오전 9시 20분 현재 코스피는 전날보다 4.07포인트(0.18%) 오른 2,321.83이다.지수는 전장보다 6.69포인트(0.29%) 오른 2,324.45에 출발해 대체로 2,320선 안팎에서 움직이고 있다.투자자들은 이날 오전 중 발표되는 한은 금통위의 기준금리 결정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.시장에서는 치솟는 물가 수준과 한국·미국 기준금리 역전 우려 등을 고려해 금통위가 이날 기준금리를 한꺼번에 0.50%포인트 올릴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.12일(현지시간) 뉴욕
증권/증시
안은복
2022.07.13
-
뉴욕증시가 소비자물가지수(CPI) 발표를 앞두고 하락세를 이어갔다.12일(현지시간) 뉴욕증권거래소(NYSE)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92.51포인트(0.62%) 떨어진 3만981.33으로 거래를 마쳤다.스탠더드앤드푸어스(S&P)500지수는 전장보다 35.63포인트(0.92%) 하락한 3818.80으로,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07.87포인트(0.95%) 떨어진 1만1264.73으로 마감했다.S&P500지수 내 11개 업종이 모두 하락했고, 에너지와 기술, 헬스, 임의소비재 관련주가 하락을 주도했다. 이날 실적을 발
증권/증시
최오현
2022.07.13
-
코스피가 1% 가까이 하락해 2310대로 내려앉았다. 코스닥도 2% 넘게 하락했다.12일 코스피는 전날보다 22.51포인트(0.96%) 내린 2317.76에 장을 마감했다.지수는 전장보다 9.39포인트(0.40%) 내린 2330.88에 개장해 점차 낙폭을 키웠다. 오후 한때 2303.74까지 밀리며 2300선마저 위협받는 모습이었다.기관이 2388억원을 순매도해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. 외국인은 450억원 순매도 했고 개인은 홀로 2676억원을 순매수했다.서울 외환시장에서 원/달러 환율은 8.2원 오른 1312.1원에 마감했다. 장중
증권/증시
노현아
2022.07.12
-
이번 주 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뉴욕증시가 하락했다.11일(미 동부시간) 뉴욕증권거래소(NYSE)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4.31포인트(0.52%) 하락한 3만1173.84로 장을 마쳤다.스탠더드앤드푸어스(S&P)500지수는 전장보다 44.95포인트(1.15%) 떨어진 3854.43으로,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62.71포인트(2.26%) 밀린 1만1372.60으로 거래를 마감했다.투자자들은 이번 주부터 시작되는 기업들의 2분기 실적 발표를 주시하고 있다.연방준비제도(연준·Fed)의 금리 인상
증권/증시
최오현
2022.07.12
-
비트코인 투자자 5명 중 3명은 가격이 1만 달러 아래로 붕괴될 것으로 예상했다.블룸버그가 지난 5∼8일 개인·기관투자자 9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 따르면 ‘비트코인이 1만달러와 3만달러 중 어느 선에 먼저 도달할 것인가’라는 물음에 응답자의 60%는 1만달러를 선택했다.현재 비트코인 가격이 2만달러 안팎이며, 투자자들 대부분은 비트코인이 3만달러로 반등하기보다는 먼저 반 토막이 날 것으로 예상한 셈이다.비트코인은 지난 11월 6만9000달러에 육박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뒤 급락해 현재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, 20
증권/증시
안은복
2022.07.11